본문 바로가기

Samsung

갤럭시 S24 vs 갤럭시 S25 스펙 비교표

 

 

 

 

 

삼성전자 갤럭시 S24 vs 갤럭시 S25 스펙 비교표

 







구 분





제품명 갤럭시 S24 갤럭시 S25
디스플레이 화면크기(인치) 15.64cm(6.2인치)
패널종류 D-AMOLED 2X
화면해상도 2340x1080(F-HD+)
최대주사율 120Hz
최대밝기 2600nits
S펜 지원 미지원
HDR10+
상시표시형(AOD)
시스템 프로세서 엑시노스2400 스냅드래곤8 엘리트
공정 4nm 3nm
그래픽코어 Xclipse 940 Adreno 830
램용량 8GB 12GB
저장용량 선택 256GB/512GB
저장장치 UFS4.0
벤치마크 AP싱글코어 2,196 3,155
AP멀티코어 6,964 9,723
통신 5G 5G NR
4G LTE
Wi-Fi 버전 Wi-Fi 6e Wi-Fi 7
블루투스 버전 블루투스v5.3 블루투스v5.4
유심 나노+eSIM
연결 USB 인터페이스 USB Type-C
USB 버전 USB 3.2 Gen 1
이어잭 USB Type-C
Wi-Fi다이렉트
PC 싱크 Smart Switch
NFC
OTG
후면
카메라
화소 50MP + 10MP + 12MP
조리개 값 F1.8,F2.4,F2.2
오토 포커스
OIS
줌(ZOOM) 최대 3배 광학 줌,최대 30배 디지털 줌
손떨림 보정
HDR촬영 지원
파노라마
동영상 녹화 해상도 UHD 8K(7,680*4,320)@30fps
슬로우모션 240fps @fps / 120fps @UHD
전면
카메라
화소 1,200만
조리개 값 F2.2
오토포커스
사운드 스피커 스테레오(2개)
AI기능

요약/편집/교정
이미지 생성/편집
실시간 통역
서클투서치
음성비서
보안기능 지문인식
얼굴인식
센서 가속도센서,기압센서,지문센서,자이로센서,지자기센서,홀센서,조도센서,근접센서
배터리 충전단자 USB-C
배터리용량 4,000mAh
배터리장착방식 배터리일체형
최대충전 25W
무선충전 최대15W
규격 크기(가로×세로×두께) 70.6mm×147mm×7.6mm 70.5mm×146.9mm×7.2mm
무게 168g 162g
방수/방진 IP68
등록년월 2024년 01월 2025년 01월
색상 그레이,옐로우,블랙,바이올렛 네이비,아이스블루,실버쉐도우,민트
출시가 1,155,000원부터~ 1,155,000원부터~

 

 

 

 

용어 설명
 
삼성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특징
Super AMOLED 터치스크린 패널을 디스플레이 위에 부착하는 대신 터치 센서를 디스플레이에 내장시켜 선명도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Super AMOLED + Super AMOLED 보다 색상 표현력은 높이고 소비 전력과 두께는 줄인 디스플레이
Dynamic AMOLED Super AMOLED의 다음 세대 디스플레이로 HDR10+ 인증이 추가된 슈퍼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로 HDR10+ 콘텐츠 감상 가능,
독일 인증 기관 VDE로 부터 어떤 디스플레이 밝기에도 DCI-P3 색 100% 충족한다는 인증을 받았으며, 블루라이트 노출 양을 줄인 디스플레이
Dynamic AMOLED 2X 120Hz 주사율을 지원하는 Dynamic AMOLED  디스플레이, 2X는 주사율이 60Hz에서 120Hz로 상승했음을 뜻함

 

 

주사율

주사율이란 화면에 1초에 얼마나 많은 장면을 표시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수치입니다.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주사율은 60Hz이며, 1초 동안 화면을 60단계로 쪼개서 보여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최근 90Hz, 120Hz, 144Hz 등의 고주사율 태블릿/스마트폰이 출시되는 추세이며 주사율이 높아질수록 화면을 끊김 없이 더 부드럽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밝기(nits)

밝기가 밝을수록 태양빛이 강한 야외에서 더 또렷하게 화면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높은 밝기의 디스플레이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시 눈이 더 쉽게 피로해지며 디스플레이 번인(Burn-in) 현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어 자동화면 밝기 조절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니트(nits)는 디스플레이의 면적 당 광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로 cd/m표현하기도합니다. 1니트는 1m 면적에 비추는 촛불 1개의 밝기를 의미합니다.

 

스냅드래곤

스냅드래곤은 퀄컴에서 개발한 모바일 AP SoC입니다. 2008년 스냅래곤 칩셋이 발표되었으며, 저전력 실시간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기기에 쓰입니다.

2024 기준 퀄컴 대표기종
초고급형 스냅드래곤8 엘리트 갤럭시 S25 시리즈
샤오미 15|15 프로
스냅드래곤8 Gen 3  갤럭시S24 울트라
 갤럭시Z 플립6|폴드6
 갤럭시Z 폴드 SE
스냅드래곤8 Gen 2  갤럭시S23
 갤럭시탭S9
 갤럭시Z 플립5|폴드5
고급형 스냅드래곤8+ Gen1  갤럭시Z 플립4|폴드4
중급형 스냅드래곤7+ Gen2  샤오미 포코 F5
스냅드래곤 800번대  샤오신패드 프로 12.7
보급형 스냅드래곤 600번대  샤오신패드 2024
 갤럭시탭A9 플러스

 

 

제조 공정

제조 공정이라는 말은 비단 CPU 뿐만 아니라 메모리나 그래픽카드 등 모든 반도체에서 사용되는 말입니다.CPU, 메모리, VGA등의 반도체에서 'nm'로 표기되는 단위는 트랜지스터와 트랜지스터를 이어주는 회로의 두께를 뜻합니다. 제조공정이 미세할 수록 같은 공간에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집적할 수 있으므로 고성능+저전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AMD ZEN CPU 공정 로드맵,제조공정(nm)이 세밀할 수록 성능이 더 뛰어납니다.>

 

하나의 반도체 안에는 수 많은 트랜지스터가 들어갑니다. 트랜지스터의 수가 많으면 많을 수록 한 번에 더 많은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CPU의 성능을 높일 때 칩 크기를 증가시키는 한이 있더라도 트랜지스터를 더 많이 집어 넣어서 동작속도를 올리는 방법도 사용했었습니다.다만 이 방법은 그만큼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되고 이는 고발열로 이어져 CPU쿨링에 그만큼 많은 비용을 투자하게 만듭니다.따라서 한정된 공간에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넣기 위해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줄이고, 트랜지스터와 트랜지스터를 이어주는 전선의 길이를 최소화 하는 것이 관건이며, 이는 곧 '공정의 미세화' 입니다.
 이렇게 미세 공정을 줄이게 되면, 전선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소모되는 전력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소모 전력량이 줄어들어 발열량이 줄어들게 되고, 이는 다시 냉각을 위해 필요한 전력 소모 그리고 전력 소모에 따라 증가하는 발열량도 함께 줄어드는 결과로 돌아옵니다.

2025년 현재 인텔은 TSMC 3nm 공정을 사용한 코어 울트라 시리즈를, AMD는 TSMC 4nm 공정을 사용한 라이젠 9000 시리즈를 출시중으로, 머지 않은 미래에 pm(피코미터) 공정으로 진입할 수 있을것으로 보여집니다.

 

 
코어클럭

프로세서는 스마트폰의 모든 연산 작업, 통신 모듈, 그래픽 작업 등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중앙 처리 장치입니다. 프로세서 내의 핵심 연산 회로인 코어(Core)의 연산 처리 속도는 스마트폰 전체 성능을 좌우하게 되며, 그 속도의 빠른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가 바로 클럭(진동수)입니다.

코어 클럭은 GHz로 표기되며 최근 출시된 스마트폰은 대부분 1GHz 이상의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클럭 수치가 높을 수록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GPU

그래픽 처리 장치는 스마트폰의 시각적 성능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GPU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로 CPU의 명령을 받아 모니터 상에 사물들의 모양, 위치, 색상, 질감들을 표현해냅니다.

 

*주요 GPU 비교

제조사 GPU 특징
Qualcomm Adreno 퀄컴에서 설계하는 GPU로 스냅드래곤과 같은 퀄컴의SoC에 채택되어 사용되는 GPU. 중급 부터 플래그십까지 폭 넓게 사용
ARM Mali, Immortalis 미디어텍, 엑시노스 등에서 사용. Immortalis는 고급 그래픽 기능 탑재
Apple Apple GPU 애플 GPS 브랜드. 애플 생태계에 최적화. 탑재된 그래픽 코어의 숫자가 많을 수록 더 좋은 성능 (※ 그래픽 코어의 숫자가 같더라도 탑재된 칩셋에 따라 성능 차이 존재 
/ 스펙 변경될 수 있음)
Samsung Xclipse 삼성의 GPU 브랜드로 AMD와 협력하여 탄생. 레이 트레이싱 등의고성능 그래픽 기능을 모바일에서 지원
intel Arc, Iris Arc는 고성능 그래픽 요구하는 작업에 적합하며, Iris는 일반 사용, 가벼운 게이밍, 사무용 등에 적합

 

NPU

NPU(Neural Processing Unit)는 AI 및 ML(Machine Learning-머신러닝) 작업을 위해 설계된 특수 하드웨어 가속기입니다. NPU는 딥 러닝 알고리즘에 필요한 복잡한 계산을 처리하도록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최적화를 통해 NPU는 자연어 처리, 이미지 분석 등과 같은 AI 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UFS (내장메모리 규격)

UFS는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임베디드 시스템 위한 플래시 스토리지 규격이며 eMMC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eMMC와 비교해 전송 속도가 훨씬 높으며, 훨씬 더 저전력이기에 고가의 스마트폰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구분 연속읽기
(MB/s)
연속쓰기
(MB/s)
임의읽기
(IPOS)
임의쓰기
(IPOS)
eUFS
4.0
4,200(1TB) 2,800(1TB) 500,000(1TB) 440,000(1TB)
eUFS
3.1
2,100(512GB) 1,200(512GB) 100,000(512GB) 70,000(512GB)
eUFS
3.0
2,100(512GB) 410(512GB) 63,000(512GB) 68,000(512GB)
eUFS
2.1
1,000(1TB)
860(512GB)
260(1TB)
255(512GB)
58,000(1TB)
42,000(512GB)
50,000(1TB)
40,000(512GB)
eUFS
2.0
850(256GB)
350(128GB)
260(256GB)
150(128GB)
45,000(256GB)
19,000(128GB)
40,000(256GB)
14,000(128GB)
eMMC
5.1
250 125 11,000 13,000
eMMC
5.0
250 90 7,000 13,000
eMMC
4.5
140 50 7,000 2,000
microSD
(U3)
95 90

microSD
(U1)
80 20

 

- UFS 카드와 eUFS의 차이 -

 

※ UFS(Universal Flash Storage) : 삼성전자가 제덱(JEDEC, 국제 반도체표준화기구)의 내장 메모리 규격인 'UFS 2.0'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만든 '외장 메모리카드

 

※ eUFS(embedded Universal Flash Storage): 제덱의 UFS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 내장 메모리.

 

 

2015년 1월 초고속 UFS 메모리 시대를 연 ‘128GB UFS’는 기존 외장 메모리카드보다 임의쓰기 속도가 28배나 빠른 14,000 IOPS를 구현했습니다. 사용자들이 모바일기기에서 UHD 콘텐츠를 보며 다른 작업을 동시에 하더라도 버퍼링 현상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성능을 제공합니다.

 

삼성전자는 ‘128GB eUFS’ 출시 후 1년이 지난 2016년 2월에는 ‘256GB eUFS’를 양산하였습니다.  시스템 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임의 읽기/쓰기 속도인데, 256GB eUFS는 기존 128GB eUFS 제품(19,000/14,000 IOPS) 대비 2배 이상 빠른 45,000/40,000 IOPS의 임의 읽기/쓰기 속도를 달성해 모바일기기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삼성전자는 '256GB eUFS'가 출시된 지 21개월 만인 2017년 12월, 용량을 2배로 늘린 '512GB eUFS'를 양산하였습니다. 이는 삼성전자의 최첨단 64단 512Gb V낸드가 적용된 제품으로 용량은 2배 늘었지만 패키지 크기와 성능은 유지, 소비전력 증가를 최소화했습니다. 

'512GB eUFS'를 사용하면, 10분짜리 4K UHD(3840×2160) 동영상을 130편 연속 녹화할 수 있으며, 모바일기기에 저장된 5GB 풀 HD 영상을 기존 마이크로SD카드보다 8배 이상 빠른 6초대에 SSD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512GB eUFS’의 구조는 위와 같으며, 256GB UFS보다 용량은 2배 더 많아졌지만 손톱만 한 패키지*의 크기를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256GB size = 11.5 X 13 X 1.2mm
512GB size = 11.5 X 13 X 1.0mm
 

이는 64단 512Gb V낸드 칩을 8단으로 적층해 512GB의 용량을 구현하고, 낸드 칩 하부에 컨트롤러를 배치하는 '고인돌(Dolmen) 구조'를 통해 작은 패키지 안에 대용량을 구현한 것입니다. 

또한 64단 512Gb V낸드는 256Gb V낸드 대비 주변 회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셀은 두 배 더 증가하였습니다. 동일한 회로에 셀용량이 커지게 되면 속도가 저하되고, 소비전력이 증가하기 마련이지만, '초고속 맵핑기술'과 '초절전 기술'을 통해 성능을 유지하고, 소비전력의 증가를 최소화했습니다.

 

AP 벤치마크

벤치마크란 연산성능을 시험하여 AP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성능이 좋을수록 높은 점수를 나타냅니다. 대략적으로 각각의 AP의 성능을 비교해볼 수 있으며 같은 AP를 탑재하였더라도 기기의 최적화 정도 등에 따라 점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점수는 대략적인 지표이며 절대적인 값은 아닌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 24년 8월 8일 기준, 출처: 나노리뷰 (Geekbench6)

* 싱글코어 기준 내림차순 입니다.


싱글코어 멀티코어
Apple M4 3810 14541
A17 Pro 2953 7441
A16 Bionic 2627 6838
Apple M2 2589 10122
Apple M1 2383 8765
A15 Bionic 2332 5736
디멘시티9300+ 2302 7547
디멘시티9300 2239 7538
엑시노스2400 2196 6964
스냅드래곤8 Gen3 2193 7304
디멘시티9200+ 2090 5532
A14 Bionic 2079 4779
스냅드래곤8s Gen3 2019 5570
스냅드래곤8 Gen2 1991 5229
디멘시티9200 1949 5281
스냅드래곤7plus Gen3 1913 5098
스냅드래곤8plus Gen1 1767 4591
텐서G3 1760 4442
A13 Bionic 1748 4161
스냅드래곤7plus Gen2 1697 4404
스냅드래곤8 Gen1 1661 4002
디멘시티9000+ 1647 4481
디멘시티9000 1585 4169
엑시노스2200 1582 3669
스냅드래곤888+
1550
3887
텐서G2 1439 3802
스냅드래곤888 1427 3423
디멘시티8300 1398 4293
엑시노스2100 1356 3348
디멘시티1300 1247 3444
디멘시티8200 1224 3891
디멘시티7350 1195 2622
스냅드래곤865+ 1162 3276
스냅드래곤870 1141 3317
디멘시티8100 1140 3624
스냅드래곤7 Gen3 1139 3375
디멘시티8020 1122 3681
디멘시티8050 1097 3359
스냅드래곤778G 1017 2841
엑시노스1380 999 2758
스냅드래곤695 980 2134
Helio G99 729 1979
Helio G95 636 1738
스냅드래곤685 473 1510
스냅드래곤680 412 1444

 

 

 
유심타입

USIM은 가입자 정보 식별을 위한 IC 카드로, 단말기 뒤나 내부에 끼워 넣는 작은 카드를 말합니다.USIM칩은 가입자, 네트워크, 인증 정보 등의 중요 정보와 메시지, 주소록 등의 부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크기에 따라 일반 유심, 마이크로 유심, 나노 유심으로 구분되며 이 중 나노 유심이 가장 작습니다. 2014년 이후 출시된 스마트폰은 대부분 나노 유심을 사용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플라스틱 SIM 카드 대신 기기 내장형 eSIM을 탑재한 모바일기기도 출시되고 있습니다. 

eSIM은 내장형 SIM 카드로 대리점 방문없이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프로파일 다운로드를 받아 사용 가능하며 비대면·온라인으로 개통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eSIM을 사용할 경우 유심을 교체할 필요 없이 통신사를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통신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비싼 요금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WiFi다이렉트


Wi-Fi다이렉트는 인터넷 연결이 없이도 Wi-Fi가 가능한 기기끼리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무선공유기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빠른 전송속도와 전송 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대일이나 일대다수의 장치와 연결이 가능하며, 각종 스마트기기, PC, 프린터 등 Wi-Fi다이렉트가 설치된 기기에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 Wi-Fi다이렉트와 블루투스 비교

구분 비교
전송속도 Wi-Fi다이렉트가 블루투스보다 빠름
거리 Wi-Fi다이렉트가 블루투스보다 
기기 사이가 더 멀어도 연결 가능
에너지 소모 블루투스가 Wi-Fi다이렉트보다 효율적

 

블루투스와 비교하여 속도가 10배이상 빠르며, 전송거리도 2배 차이로, Wi-Fi다이렉트를 적용하는 기기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OTG

OTG 기능이란 On The Go 의 약자로, 스마트폰에서 USB 메모리, SD카드 또는 외장하드로 바로 연결이 가능한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에서는 직접 USB 메모리, SD카드 또는 외장하드 안의 사진, 동영상, 문서 등을 읽고 쓸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이지넷유비쿼터스 NEXT-485G USB&카드리더 OTG커넥터>

 

 

NFC 

 

무선 태그 (RFID) 기술 중 하나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기술을 말합니다.통신거리가 짧은 기술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며 가격 또한 저렴해서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로 꼽힙니다.

데이터 읽기, 쓰기 기능을 모두 사용 할 수 있고, 기존에 RFID 사용을 위해필요했던 동글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모바일 카메라 렌즈

 

광각(Wide)

모바일 기기에서 메인카메라는 표준렌즈가 아닌 광각렌즈를 보통 사용합니다. 광각렌즈의 특징은 같은 거리에서 촬영할때 표준렌즈보다 더 넓은 범위를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피사체와 거리가 가까울 수록 왜곡이 심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로 풍경을 찍는데 유리한 렌즈입니다.

 

초광각(Ultra-wide)

모바일 기기에서의 초광각 렌즈는 광각렌즈 중 화각이 넓은 렌즈를 초광각 렌즈로 분류하고 있지만 몇 도 이상부터 분류되는지 명확한 기준은 없습니다. 더 넓은 풍경을 한 번에 담기 좋습니다.

 

망원(Telephoto)

망원경처럼 멀리있는 피사체를 줌하여 촬영할 수 있는 렌즈입니다. 초점거리가 길기 때문에 화각이 좁아 전체적인 풍경을 담기보다는 특정 피사체를 포커싱하여 찍기에 유리한 렌즈입니다.

 

잠망경 망원(Periscope Telephoto)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초첨거리를 늘리는 것이 물리적으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기기에 들어오는 빛을 굴절시켜 초점거리를 증가시키는 형태의 렌즈입니다. 더 먼거리의 피사체를 찍기 좋습니다.

 

접사(Macro)

특정 피사체를 더 세밀하게 찍을 수 있는 형태의 렌즈입니다.

 

심도(Depth)

특정 피사체 주변을 아웃포커싱하여 피사체를 강조하는 렌즈형태입니다. 최근에는 저가형 스마트폰에 주로 탑재되고있습니다.

 

동영상촬영 

① 동영상 해상도


해상도는 가로X세로의 크기를 픽셀로 나타낸 것이며, 크기가 클수록 고화질의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② 동영상 프레임

비디오나 영화 TV등의 영상은 정지된 한장의 이미지를 빠르게 바뀌면서 보여지면 영상으로 표현됩니다.이때 초당 몇 장의 이미지로 보여지는가에 따라 영상의 표현력이 달라집니다.이러한 초당 표현되는 이미지의 수를 fps등으로 표기합니다

 

조리개값


렌즈밝기는 렌즈의 최소 F값과 관련된 렌즈의 특성입니다. 렌즈의 밝기는 최소 F값(최대 조리개)을 말합니다.렌즈밝기가 가장 밝을때는 최대 조리개가 최대로 커졌을때 (최소 F 값이 가장 작을때)를 말하며, 렌즈가 밝다고 하는이유는 단위 시간동안에 더 많은 빛을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이야기 합니다.또한 렌즈가 밝을수록 빠른 셔터 스피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밝은 렌즈에 대해 빠른 렌즈(Fast Lens) 라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요약/편집/교정( ai기능/글쓰기 도구)

메모 혹은 텍스트를 AI를 통해 요약/편집/교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갤럭시 주요 기능

① 자동 서식, 요약, 맞춤범 검사, 노트 번역

② 녹음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요약

③ 웹페이지의 모든 텍스트 번역 및 요약

✓ 아이폰 주요 기능

(*iOS 18.1일 경우 사용 가능) 

① 글쓰기 도구로 글 교정, 재작성, 요약

② 메모나 전화앱에서 녹음 및 요약 가능

③ Mail의 최우선 메시지 기능을 통해 알림 요약

 

이미지 생성/편집 (ai기능)

AI를 통해 그림을 이미지로 표현하거나, 색다른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혹은 사진 속 피사체를 마음대로 이동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갤럭시 주요 기능

① AI로 피사체를 옮기고, 확대하고, 구도를 바꾸거나 사진 리마스터 가능

② 간단히 그린 스케치를 다양한 스타일의 작품으로 변경 가능

 

 ✓ 아이폰 주요 기능

① Image Playground로 적합한 이미지 제작

② 이미지 AI 편집 가능

③ 이미지 혹은 비디오 텍스트 AI 검색

④ 저장된 이미지 바탕 자동 동영상 완성

 

통역 (ai기능)

메시지와 통화내용을 바로 통역해주거나 대화, 강의, 회의 등 실시간 통역을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폴더블폰의 경우 통역 내용을 텍스트로 보거나 음성으로 들을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로 갤럭시 휴대폰일 경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메시지와 통화내용을 바로 통역

 

▼ 통역 내용을 텍스트로 보거나 음성으로 들을 수 있음

 

 

AI 검색

 

 

갤럭시 혹은 일부 안드로이드 제품은 탑재된 펜이나 손가락을 사용해 동그라미만 그리면 원하는 걸 검색할 수 있습니다.

iOS의 경우는 동그라미만 그리면 원하는 기능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음성비서(ai기능)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인공지능 기반의 소프트웨어입니다. 자연어 처리와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이해하고 적합한 응답을 제공합니다.

 

 

*주요 음성비서

종류 유료/무료 여부 대표 기기
빅스비 무료 갤럭시S25, 갤럭시탭S10
시리(SirI) 무료 아이폰16, 2024 아이패드
구글 어시스턴트 무료 Google 픽셀 9
제미나이 유료 (구독 기반) 갤럭시S25 (*유료 구독)
슈퍼 샤오아이 무료+유료(유료 서비스 별도 제공) 샤오미 미 패드7, 샤오미15

 

*아이폰15 프로 이상, 아이패드 프로/에어 M1 이상 부터 애플AI 적용되어 대화 맥락 이해하는 시리 사용 가능

 

 

빅스비 (ai기능)


갤럭시S8 이후 스마트폰에 탑재된 AI/인공지능 음성인식 서비스입니다. 음성 명령으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계 학습을 통하여 사용자가 말하는 방식이나 가장 많이 하는 작업을 스스로 학습하여 사용자에 맞게 최적화됩니다.

 

빅스비는 빅스비 보이스/비전/홈/리마인더 등 총 4가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기에 따라 2가지~3가지 기능만 탑재된 기기들도 있습니다. 

 

무선충전

무선충전은 기기가 무선충전을 지원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무선충전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의성이 좋으나 무선충전기 코일 위치에 맞지 않게 올려놓는다면 충전이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무선충전의 대표적인 방식은 아래와 같이 구분됩니다. 

*무선충전 방식 (얼라이언스)

 

1. 자기유도 방식 (WPC, PMA)

- 공진유도 방식 대비 고효율 충전이 가능

- 평평한 매트방식 패드에서 충전이 가능

- 최대 약 15W급 급속충전 가능

- LG전자, 삼성전자, 애플, 토요타 외 참여

 

2. 공진유도 방식 (A4WP)

- 자기유도 방식 대비 원거리에서 무선충전이 가능

- 삼성전자, 퀄컴, SK텔레콤 외 참여

 

3. 자기공명 방식 (AFA)

- PMA와 A4WP의 연합 규격

- 충전패드 등 공간과 위치에 상관없는 충전 방식

- 최대 약 33W 급속충전 모듈 개발

 

공진유도 방식의 무선충전은 충전기와 스마트폰의 위치 등에 따라 충전효율의 차이가 극심한 편으로 아직 대중적이지 못하며, 최근 사용되고 있는 무선충전의 방식은 WPC(Qi) 및 PMA 방식의 자기유도를 사용한 무선충전이 대부분입니다.

 

 

퀄컴퀵차지(고속충전)

1. 퀄컴 퀵차지 최대 속도

 

2. 퀄컴 퀵차지 스펙

 

3. 30분 충전시 충전되는 배터리 용량

 

USB PD [USB 허브]

USB Power Delivery(PD)는 USB를 통해 보다 높은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규격입니다.

 

종래의 USB 단자는 적게는 2.5W(USB2.0)의 전력을 제공했으며, 퀄컴 퀵차지 등 각종 고속충전 시에도 18W를 넘지 않았습니다.(QC 4.0에 이르러 28W를 지원합니다) 때문에 이보다 더 높은 전력량을 필요로 하는 노트북이나 기타 전자장치는 대부분 별도의 DC 어댑터를 이용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또한 고 전력을 송출하기 위해 전압을 높인 어댑터는 일반 USB장치를 심각하게 손상시킬 수 있어 호환성을 매우 주의해야만 했습니다.

 

종류 전압 전류 전력
USB 2.0 5V 0.5A 2.5W
USB 3.0 5V 0.9A 4.5W
퀵차지 1.0 5V 2A 최대 10W
퀵차지 2.0 5V 2A
9V 1.8A 최대 18W
12V 1.5A
퀵차지 3.0 3.6~6.5V 3A 최대 18W
6.5~9V 2A
9~12V 1.5A
퀵차지 4.0 5V 4.7~5.6A 최대 28W
9V 3A
USB PD 5V 3A 최대 100W
9V 3A
15V 3A
20V 5A

< USB 충전 방식별 최대 전력 공급량 >

 

USB PD는 5/9/15/20V의 4단계로 전압을 조절하여 최대 100W(20V 5A) 까지도 전송 가능한 기술입니다. 대부분의 USB 장치는 물론이며, 저 전력화가 진행된 노트북까지도 USB로 충전이 가능합니다. 또한 USB PD는 낮은 전압 제품에 자동으로 전압을 맞추어 공급하는 호환성과, 양방향 전력송출이 가능합니다. 양방향 전력송출 기능으로 인하여, 노트북의 전용 USB C타입 단자를 노트북 충전용으로 쓰거나 USB 허브를 연결하는 등의 용도로 쓸 수 있습니다.

 

USB PD는 C타입 단자를 사용하고 있지만, 반대로 C타입 단자가 USB PD를 모두 지원하는 것은 아니므로 사용하려는 단자가 USB PD 지원단자 인지 확인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진,자료 제공:삼성전자,다나와,쿠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