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의 태블릿 라인업은 꾸준히 진화하고 있으며, 갤럭시탭 S9와 최신 모델인 갤럭시탭 S10 FE는 각각 다른 사용자층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태블릿을 찾는 소비자와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 모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죠. 여기에서는 두 태블릿의 주요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어떤 태블릿이 여러분의 필요에 더 적합한지 판단하는 데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갤럭시탭 S9와 갤럭시탭 S10 FE 비교
구 분 | ![]() |
![]() |
|
모델명 | 갤럭시탭S9 | 갤럭시탭S10 FE | |
호환펜 | S펜(포함) | S펜(포함) | |
운영체제 | android 13 | android 15 | |
색상 | 그라파이트,베이지 | 그레이,블루 | |
화면정보 | 화면크기 | 11.0인치 | 10.9인치 |
패널 | D-AMOLED 2X | TFT-LCD | |
해상도 | 2560x1600 | 2304x1440 | |
PPI | 274ppi | 249ppi | |
화면비율 | 16:10 | ||
최대주사율 | 120hz | 90Hz | |
최대밝기 | 750nits | 800nits | |
시스템 | 제조사 | 삼성전자 | |
프로세서 | 스냅드래곤8 Gen2 | 엑시노스1580 | |
코어 수/클럭 | 8코어 / 3.2GHz+2.8GHz+2.8GHz+2.0GHz | 8코어 / 2.9GHz+2.6GHz+1.9GHz | |
GPU | Adreno740 | Xclipse 540 | |
저장용량 | 128GB,256GB | 128GB,256GB | |
추가슬롯 | microSD:최대1TB | microSD:최대2TB | |
램용량 | 8GB(128GB 저장용량 선택 시), 12GB(256GB 저장용량 선택 시) | ||
네트워크 | 통신 | Wi-Fi,5G | |
Wi-Fi버전 | Wi-Fi 6e | Wi-Fi 6 | |
블루투스버전 | 블루투스v5.3 | ||
카메라 | 후면카메라 | 1,300만 화소 | |
전면카메라 | 1,200만 화소 | ||
사운드 | 스피커/기술 | 4스피커/돌비애트모스 | 2스피커/AK Tune |
AI 기능 | 서클투서치,노트어시스트,포토어시스트 | ||
센서 | GPS,자이로,가속도,나침반,조도 | ||
배터리 | 충전단자 | USB-C타입 | |
용량 | 8,400mAh | 8,000mAh | |
사용시간 | 비디오 재생 최대 15시간 | 비디오 재생 최대 20시간 | |
규격 | 가로 | 254.3mm | 254.3mm |
세로 | 165.8mm | 165.8mm | |
두께 | 5.9mm | 6mm | |
무게 | 498g | 497g | |
등록년월 | 2023년 07월 | 2025년 04월 | |
출시가격 | 998,800원부터~ | 698,500원부터~ |
구매 가이드
갤럭시탭 S9
- 최고급 디스플레이와 성능을 원하는 사용자
- 디지털 아트나 전문적인 그래픽 작업을 하는 사용자
- 고사양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
- 최상의 멀티미디어 경험을 원하는 사용자
갤럭시탭 S10 FE
- 합리적인 가격에 좋은 태블릿을 찾는 사용자
- 주로 웹 서핑, 소셜 미디어, 스트리밍에 사용하는 사용자
- 기본적인 메모와 문서 작업이 주요 용도인 사용자
- 학생이나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
갤럭시탭 S10 FE 플러스
- 갤럭시탭 S10 FE 모델의 합리적 가격으로 13.1인치 대화면을 원하는 사용자
결론
갤럭시탭 S9와 S10 FE는 각각의 타겟 사용자층에 맞는 뛰어난 태블릿입니다. S9는 최고급 사양과 성능을 제공하며, 전문적인 작업이나 고사양 게임에 적합합니다. 반면 S10 FE는 합리적인 가격에 삼성 태블릿의 핵심 경험을 제공하며, 일상적인 사용과 미디어 소비에 충분한 성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예산과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고의 경험을 원하고 예산이 넉넉하다면 갤럭시탭 S9를, 합리적인 가격에 좋은 성능의 태블릿을 원한다면 갤럭시탭 S10 FE,갤럭시탭 S10 FE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용어 설명
TFT-LCD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체와 고체의 중간적 특성을 갖는 액정이라는 물질의 전기/광학적 성질(외부에서 들어오는 전압에 따라 액정의 분자배열이 변화되는 성질)을 이용한 것입니다. 자체적으로 빛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패널 뒷면에 백색광을 내는 백라이트를 붙여야 합니다. 기존에는 CCFL(형광등)을 백라이트로 썼지만 요즘은 LED를 이용하고 있어 소비전력이 낮고, 색도 균일하게 표시됩니다.
LCD는 1970년대부터 전자계산기나 시계에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LCD는 구동 전극의 형성 방법이나 액정 물질에 따라 나뉘는데 당시에는 DSM-LCD가 주를 이루었으며, 이후 TN-LCD, AMLCD로 발전,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지금 주로 쓰이는 TFT-LCD가 평판 디스플레이로서 자리를 잡기 시작했습니다.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는 유리판 위에 실리콘으로 된 얇은 반도체막을 덮은 제품. 각각의 화소마다 발광을 제어할 수 있는 TFT가 있기 때문에 각 화소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습니다. 동작 속도가 빠르고 선명하며, 가격도 비교적 낮기 때문에 PC모니터, 노트북,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TFT-LCD의 기본 구성 (사진 출처 : 삼성디스플레이)
삼성 디스플레이 특징
디스플레이 | 특징 |
Super AMOLED | 터치스크린 패널을 디스플레이 위에 부착하는 대신 터치 센서를 디스플레이에 내장시켜 선명도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
Super AMOLED + | Super AMOLED 보다 색상 표현력은 높이고 소비 전력과 두께는 줄인 디스플레이 |
Dynamic AMOLED | Super AMOLED의 다음 세대 디스플레이로 HDR10+ 인증이 추가된 슈퍼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로 HDR10+ 콘텐츠 감상 가능, 독일 인증 기관 VDE로 부터 어떤 디스플레이 밝기에도 DCI-P3 색 100% 충족한다는 인증을 받았으며, 블루라이트 노출 양을 줄인 디스플레이 |
Dynamic AMOLED 2X | 120Hz 주사율을 지원하는 Dynamic AMOLED 디스플레이, 2X는 주사율이 60Hz에서 120Hz로 상승했음을 뜻함 |
PPI(픽셀 수)
PPI ( Pixel per inch)
1인치(25.4mm)에 포함된 픽셀(화소)의 수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수치가 클수록 고밀도 화소로 정밀감이 높은 화상이 됩니다.
보통 ppi는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같이 상승하기 때문에 해상도와 많이 혼동 될 수 있는 단위이지만 해상도는 디스플레이의 전체적인 픽셀의 양만을 측정하는 단위이고 ppi는 디스플레이에 픽셀을 얼마나 작게 넣었는가는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 해상도↑, ppi↓의 경우, 이미지의 크기가 커짐
- 해상도↓, ppi↑의 경우, 이미지의 크기가 작아짐
화면비율
화면비율(aspect ratio)이란, 출력되는 영상물에 따라 표준으로 규정된 비율을 말합니다. '가로세로비'라고도 한다. 흔히 4:3, 16:9의 형식으로 구분이 됩니다.

단, 태블릿에서는 전면 카메라가 정면에 왔을 때를 기준으로 가로, 세로 길이를 측정하여 대부분 세로형으로 출시되는 아이패드는 3:4비율로 기재되어야되나 보통 장축이 앞에 나오도록 부르기 때문에 4:3비율로 기재되고 있습니다.
태블릿PC를 선택할 경우, 모바일게임/동영상 감상용으로는 16:9 또는 16:10 화면비를 많이 선택합니다. 대부분의 영상은 16:9로 제작이 되기 때문입니다.또한 16:9(16:10)의 장점은 넓은 가로비로 인해 화면분할로 다양한 멀티테스킹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그러나 16:9는 가로비가 넓어 인터넷이나 문서작업시 잘리는 부분이 생기며, 세로로 사용시 길이가 길어지는 등 불편함 또한 있습니다.
인터넷/문서작업/전자책 용으로는 4:3 화면비의 태블릿이 좋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상이 16:9로 맞춰져 있기 때문에 4:3비율의 태블릿에서 영상을 시청할 경우 레터박스가 발생하여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3:2 화면비 태블릿은 16:9와 4:3 화면비를 적절하게 조합한 태블릿입니다. 문서작업 뿐만 아니라 동영상 감상시에도 레터박스가 적어 방해가 적은 편입니다.
주사율
주사율이란 화면에 1초에 얼마나 많은 장면을 표시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수치입니다.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주사율은 60Hz이며, 1초 동안 화면을 60단계로 쪼개서 보여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최근 90Hz, 120Hz, 144Hz 등의 고주사율 태블릿/스마트폰이 출시되는 추세이며 주사율이 높아질수록 화면을 끊김 없이 더 부드럽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밝기(nits)
밝기가 밝을수록 태양빛이 강한 야외에서 더 또렷하게 화면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높은 밝기의 디스플레이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시 눈이 더 쉽게 피로해지며 디스플레이 번인(Burn-in) 현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어 자동화면 밝기 조절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니트(nits)는 디스플레이의 면적 당 광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로 cd/m2 표현하기도합니다. 1니트는 1m 면적에 비추는 촛불 1개의 밝기를 의미합니다.
Micro SD 메모리카드
스마트 기기의 기본 저장용량이 상승되고, 방수기능의 일반화로 보안과 씰링을 위해 최근에는 별도의 저장장치를 추가할 수 없도록 만들어지는 추세입니다.
기본용량별 추천용도
저장용량 | 사용성 |
64GB/128GB/256GB | 스트리밍 위주, 웹서핑, 앱설치, 사진, 캐쥬얼 게임 등 일반용도 |
256GB/512GB/1TB | 동영상 다운, 고용량 게임, 사진/동영상 촬영 위주 사용 |
휴대폰, 스트리밍 영상, 인터넷 서핑과 앱, 사진 등 일반적인 용도로는 128GB 또는 256GB 기본용량에 불편함이 적지만,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빈도가 많거나, 게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소 256GB이상의 휴대폰을 선택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 Micro-SD 메모리 카드와 일반 SD 메모리 카드 크기 비교
SDHC는 SD High Capacity의 약자로 기존 Secure Digital(SD) 메모리카드의 용량을 늘린 규격입니다.스마트폰을 비롯한 포터블 기기에서는 매우 작은 크기의 메모리카드인 MicroSD 카드가 주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는 포터블 기기의 저장용량을 업그레이드하거나, 파일 관리 및 전송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스냅드래곤

스냅드래곤은 퀄컴에서 개발한 모바일 AP SoC입니다. 2008년 스냅래곤 칩셋이 발표되었으며, 저전력 실시간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기기에 쓰입니다.
2024 기준 | 퀄컴 | 대표기종 |
초고급형 | 스냅드래곤8 엘리트 | 샤오미 15|15 프로 |
스냅드래곤8 Gen 3 | 갤럭시S24 울트라 갤럭시Z 플립6|폴드6 갤럭시Z 폴드 SE |
|
스냅드래곤8 Gen 2 | 갤럭시S23 갤럭시탭S9 갤럭시Z 플립5|폴드5 |
|
고급형 | 스냅드래곤8+ Gen1 | 갤럭시Z 플립4|폴드4 |
중급형 | 스냅드래곤7+ Gen2 | 샤오미 포코 F5 |
스냅드래곤 800번대 | 샤오신패드 프로 12.7 | |
보급형 | 스냅드래곤 600번대 | 샤오신패드 2024 갤럭시탭A9 플러스 |
엑시노스

엑시노스(Exynos)는 삼성전자에서 제작하는 ARM 아키텍처 기반의 프로세서의 단일 칩 시스템입니다.
2024 기준 | 삼성전자 | 대표기종 |
초고급형 | 엑시노스 2400 | 갤럭시S24/S24+ (국내) |
고급형 | 엑시노스 2200 | 갤럭시S23 FE 갤럭시S22 시리즈(유럽) |
중급형 | 엑시노스 2400e | 갤럭시S24 FE |
엑시노스 1380 | 갤럭시탭S9 FE/FE+ | |
보급형 | 엑시노스 1280 | 갤럭시A33 |
코어클럭
프로세서는 스마트폰의 모든 연산 작업, 통신 모듈, 그래픽 작업 등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중앙 처리 장치입니다. 프로세서 내의 핵심 연산 회로인 코어(Core)의 연산 처리 속도는 스마트폰 전체 성능을 좌우하게 되며, 그 속도의 빠른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가 바로 클럭(진동수)입니다.
코어 클럭은 GHz로 표기되며 최근 출시된 스마트폰은 대부분 1GHz 이상의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클럭 수치가 높을 수록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GPU [태블릿/휴대폰]
그래픽 처리 장치는 스마트폰의 시각적 성능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GPU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로 CPU의 명령을 받아 모니터 상에 사물들의 모양, 위치, 색상, 질감들을 표현해냅니다.
*주요 GPU 비교
제조사 | GPU | 특징 |
Qualcomm | Adreno | 퀄컴에서 설계하는 GPU로 스냅드래곤과 같은 퀄컴의SoC에 채택되어 사용되는 GPU. 중급 부터 플래그십까지 폭 넓게 사용 |
ARM | Mali, Immortalis | 미디어텍, 엑시노스 등에서 사용. Immortalis는 고급 그래픽 기능 탑재 |
Apple | Apple GPU | 애플 GPS 브랜드. 애플 생태계에 최적화. 탑재된 그래픽 코어의 숫자가 많을 수록 더 좋은 성능 (※ 그래픽 코어의 숫자가 같더라도 탑재된 칩셋에 따라 성능 차이 존재 / 스펙 변경될 수 있음) |
Samsung | Xclipse | 삼성의 GPU 브랜드로 AMD와 협력하여 탄생. 레이 트레이싱 등의고성능 그래픽 기능을 모바일에서 지원 |
intel | Arc, Iris | Arc는 고성능 그래픽 요구하는 작업에 적합하며, Iris는 일반 사용, 가벼운 게이밍, 사무용 등에 적합 |
삼성 갤럭시탭 S10시리즈(S10+,S10울트라)스펙/가격 비교
삼성 태블릿 최상위 모델인 갤럭시탭 S10시리즈를 출시했습니다.12.4인치 갤럭시탭 S10+(플러스)와 14.6인치 갤럭시탭S10 울트라 모델이죠.기본 모델인 11인치는 여전히 갤럭시탭 S9가 최신모델을 이
its-memory.tistory.com
갤럭시탭 S9와 아이패드 에어 m2 11인치,13인치 비교
삼성전자 갤럭시탭 S9와 아이패드 에어 6세대 M2 11인치,13인치 모델의 객관적인 스펙/사양과 가격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갤럭시탭S9시리즈에는 이번에 AI기능이 탑제되어서 더 편리해졌으며
its-memory.tistory.com
갤럭시탭 A9+(플러스) vs 갤럭시탭 S9 스펙/가격/차이점 비교
11인치 삼성 태블릿으로 갤럭시탭 A9플러스와 갤럭시탭 S9가 있습니다.A9+는 보급형, S9는 프리미엄급을 대표하는 모델로 스펙과 가격은 차이가 나며 상세한 내용은 아래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its-memory.tistory.com
사진,자료 : 삼성전자.다나와,쿠팡
'Samsu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S24 vs 갤럭시 S25 스펙 비교표 (1) | 2025.02.23 |
---|---|
삼성 갤럭시탭 S10시리즈(S10+,S10울트라)스펙/가격 비교 (0) | 2024.11.09 |
갤럭시탭 A9+(플러스) vs 갤럭시탭 S9 스펙/가격/차이점 비교 (3) | 2024.09.08 |
삼성 갤럭시 S24시리즈(S24,S24+,S24울트라) 스펙/가격 비교 (4) | 2024.06.29 |
16인치 갤럭시북4 프로,프로360,울트라 사양과 가격 알아보기 (3) |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