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msung

삼성 갤럭시 S24시리즈(S24,S24+,S24울트라) 스펙/가격 비교

갤럭시S24,S24+,S24 Ultra 사진/출처:삼성전자

 

순서
  • 갤럭시 S24 / S24 플러스 / S24 울트라 비교표
  • 갤럭시S24,S24 플러스 vs S24 울트라 색상/카메라 비교사진
  • 용어 설명

 

갤럭시S24 / S24 플러스 / S24 울트라 비교표

 







구 분





제품명 갤럭시 S24 갤럭시 S24 플러스 갤럭시 S24 울트라
디스플레이 화면크기(인치) 15.64cm(6.2") 17.01cm(6.7") 17.27cm(6.8")
패널종류 D-AMOLED 2X
화면해상도 2340x1080(F-HD+) 3140x1440(Quad HD+)
최대주사율 120Hz
최대밝기 2600nits
S펜 지원 -
HDR10+
상시표시형(AOD)
시스템 프로세서 엑시노스2400 스냅드래곤8 Gen3
공정 4nm
그래픽코어 Xclipse 940 Adreno 750
램 용량 8GB 12GB
저장용량 선택 256GB/512GB 256GB/512GB/1TB
저장장치 UFS4.0
벤치마크 Geekbench(싱글) 2,161 2,172 2,288
Geekbench(멀티) 6,781 6,933 7,228
AI-Benchmark - - 3,230
3Dmark 12,486 13,705 16,294
DXOmark 133 133 144
통신 5G 5G NR
4G LTE-A
Wi-Fi버전 Wi-Fi6e Wi-Fi7
블루투스 블루투스v5.3
유심 나노+eSIM
연결 USB 인터페이스 USB Type-C
USB 버전 USB 3.2 Gen 1
이어잭 USB Type-C
Wi-Fi다이렉트
UWB(Utra-Wideband) -
NFC
OTG
후면
카메라
화소 5,000만+1,000만+1,200만 2억+5,000만+1,000만+1,200만
조리개 값 F1.8,F2.4,F2.2 F1.7,F3.4,F2.2,F2.4
오토 포커스
OIS
줌(ZOOM) 최대 3배 광학 줌,최대 30배 디지털 줌 최대 5배 광학 줌
최대 100배 디지털 줌
손떨림 보정
HDR촬영 지원
Laser AF 센서 -
동영상 녹화 해상도 UHD 8K(7,680*4,320)@30fps
슬로우모션 240fps @fps / 120fps @UHD
전면
카메라
화소 1,200만
조리개 값 F2.2
오토포커스
사운드 스피커 스테레오(2개)
AI기능 서클투서치
실시간통역
노트어시스트
포토어시스트
보안기능 지문인식
얼굴인식
센서   가속도센서,기압센서,지문센서,자이로센서,지자기센서,홀센서,조도센서,근접센서
배터리 충전단자 USB-C
배터리용량 4,000mAh 4,900mAh 5,000mAh
배터리장착방식 배터리일체형
최대충전 25W 45W
무선충전 최대15W
규격 크기(가로×세로×두께) 70.6mm×147mm×7.6mm 75.9mm×158.5mm×7.7mm 79mm×162.3mm×8.6mm
무게 168g 197g 232g
방수/방진 IP68 IP68 IP68
등록년월 2024년 01월
모델명 SM-S921 SM-S926 SM-S928
색상 마블 그레이,엠버 옐로우,오닉스 블랙,코발트 바이올렛 마블 그레이,엠버 옐로우,오닉스 블랙,코발트 바이올렛 티타늄(그레이,바이올렛,블랙,옐로우)
출시가 1,155,000원부터~ 1,353,000원부터~ 1,698,400원부터~

 

 

갤럭시s24시리즈 자급제폰 쿠팡 할인가격 알아보기 ↓ ↓

 

 

 

삼성전자 갤럭시 S24 자급제

COUPANG

www.coupang.com

 

 

 

삼성전자 갤럭시 S24+ 자급제

COUPANG

www.coupang.com

 

 

 

삼성전자 갤럭시 S24 Ultra 자급제

COUPANG

www.coupang.com

 

 

 

갤럭시S24,S24 플러스 vs S24 울트라 색상/카메라 비교사진

갤럭시S24,24+ 색상,카메라

 

갤럭시S24울트라 색상,카메라

 

 

 

용어 설명

 

5G NR

 

5G 이동통신 기술은 크게 세 가지 기술진화 방향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1) 초광대역 서비스

UHD 기반 AR/VR 및 홀로그램 등 대용량 전송이 필요한 서비스를 감당하기 위해 더 큰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고 더 많은안테나를 사용하여 사용자당 100Mbps에서 최대 20Gbps까지 훨씬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 제공을 목표로 합니다.

(2) 고신뢰/초저지연 통신

로봇 원격 제어, 주변 교통 상황을 통신을 통해 공유하는 자율주행차량,실시간 interactive 게임 등 실시간 반응 속도가 필요한 서비스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수십 밀리 세컨드 (1ms = 1/1000 초) 걸리던 지연 시간을 1ms 수준으로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대량연결

수 많은 각종 가정용, 산업용 IoT 기기들이 상호 연결되어 동작할 미래 환경을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1 km2 면적 당1백만개의 연결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주사율

 

주사율이란 화면에 1초에 얼마나 많은 장면을 표시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수치입니다.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주사율은 60Hz이며, 1초 동안 화면을 60단계로 쪼개서 보여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최근 90Hz, 120Hz, 144Hz 등의 고주사율 태블릿/스마트폰이 출시되는 추세이며 주사율이 높아질수록 화면을 끊김 없이 더 부드럽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AP종류

모바일 AP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탑재된 CPU를 말합니다. 모바일 CPU를 AP라고 부르는 이유는 PC의 CPU와는 다르게 연산을 위한 CPU와 영상을 위한 GPU, 그리고 통신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칩으로 통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따라서 모바일AP는 스마트폰/태블릿의 성능을 보기 위한 진짜 핵심 부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024년 5월 기준 작성

 

대표적인 AP 종류

 

① 스냅드래곤 : 퀄컴에서 개발한 모바일AP

2024 기준 퀄컴 대표기종
초고급형 스냅드래곤8 Gen 3  갤럭시S24 울트라
스냅드래곤8 Gen 2  갤럭시S23
 갤럭시탭S9
 갤럭시Z 플립5|폴드5
고급형 스냅드래곤8+ Gen1  갤럭시Z 플립4|폴드4
중급형 스냅드래곤7+ Gen2  샤오미 포코 F5
스냅드래곤 800번대  샤오신패드 프로 12.7
보급형 스냅드래곤 600번대  샤오신패드 2024
 갤럭시탭A9 플러스

 

 

② 엑시노스 : 삼성전자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모바일AP

2024 기준 삼성전자 대표기종
초고급형 엑시노스 2400  갤럭시S24/S24+ (국내)
고급형 엑시노스 2200  갤럭시S23 FE
 갤럭시S22 시리즈(유럽)
중급형 엑시노스 1380  갤럭시탭S9 FE/FE+
보급형 엑시노스 1280  갤럭시A33

 

 

③ 애플M/애플A : APPLE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모바일AP

2024 기준 APPLE 대표기종
초초고급형 APPLE M4  아이패드 프로 13 M4
 아이패드 프로 11 M4
APPLE M2  아이패드 프로 6세대
 아이패드 에어 13 M2
 아이패드 에어 11 M2
초고급형 APPLE M1  아이패드 프로 5세대
 아이패드 에어 5세대
A17 Pro  아이폰15 프로
A16 Bionic  아이폰15
 아이폰14 프로
고급형 A15 Bionic  아이폰14, 아이폰13
 아이패드 미니 6세대
A14 Bionic  아이폰12
 아이패드 에어 4세대
 아이패드 10세대
A13 Bionic  아이폰11, 아이패드 9세대
A12Z Bionic  아이패드 프로 4세대
A12X Bionic  아이패드 프로 3세대
중급형 A12 Bionic  아이패드 8세대/에어3/미니5
 아이폰XS
A11 Bionic  아이폰X
A10X  아이패드 프로 2세대

 

 

④ 디멘시티/헬리오 : 미디어텍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모바일AP

2023 기준 미디어텍 대표기종
초고급형 디멘시티 9300  -
디멘시티 9200+  레드미 K60 울트라
디멘시티 9200  비보 X90
고급형 디멘시티 9000+  ASUS 로그폰 6D
중급형 디멘시티 1300  원플러스 노드 2T
디멘시티 1100  샤오미 포코 X3 GT
보급형 헬리오 G99  ALLDOCUBE iplay50 미니 프로

 

 

AP 벤치마크 비교

벤치마크란 연산성능을 시험하여 AP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성능이 좋을수록 높은 점수를 나타냅니다. 대략적으로 각각의 AP의 성능을 비교해볼 수 있으며 같은 AP를 탑재하였더라도 기기의 최적화 정도 등에 따라 점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점수는 대략적인 지표이며 절대적인 값은 아닌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 싱글코어 내림차순입니다.

  싱글코어 멀티코어
A17 Pro 2962 7512
A16 Bionic 2649 6888
A15 Bionic 2339 5749
디멘시티 9300 2243 7560
스냅드래곤 8 Gen3 2197 7325
디멘시티 9200+ 2094 5555
스냅드래곤 8 Gen2 1993 5340
디멘시티 9200 1955 5320
스냅드래곤 8+ Gen1 1772 4634
스냅드래곤 8 Gen1 1670 4012
디멘시티 9000 1649 4522
디멘시티 8300 1520 4833

 

 

Geekbench

 

Primate Labs사에서 만들어 서비스중인 벤치마크 앱이며 주로 CPU 성능을 측정하는데 많이 쓰입니다.

*현재 노출중인 점수는 Geekbench에서 수집하여 게시된 점수와 국내외 리뷰 사이트에서 측정된 점수를 표기하고있으며 동일한 기종이더라도 기기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라서 점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www.geekbench.com/

 

AI-Benchmark

 

AI-Benchmark는 휴대폰 AI성능을 테스트하여 수치화하는 앱입니다. 78개의 AI와 컴퓨터 비전 테스트로 구성되어있으며 속도, 정확도, 설정 시간 등 AI의 성능을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점수화합니다.

iOS의 경우 사이트에서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긴하지만 애플스토어에 등록되지 않아 안드로이드기반의 기기에만 해당 점수가 추가되었습니다.

출처: https://ai-benchmark.com/

 

그래픽 (3D마크)

 

UL 벤치마크사에서 만들어 서비스중인 벤치마크 앱이며 원래는 PC용 그래픽카드 성능을 측정하는데 많이 사용하던 앱이었습니다. 2013년 스마트폰/태블릿용 앱을 선보였으며 2020년에는 와일드 라이프 벤치마크 플랫폼을 출시하여 윈도우, 안드로이드, iOS 기기간 성능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현재 노출중인 점수는 3D마크에서 수집하여 게시된 점수와 국내외 리뷰 사이트에서 측정된 점수를 표기하고있으며 동일한 기종이더라도 기기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라서 점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benchmarks.ul.com/

 

DXO마크

DXO마크는 디지털 카메라 렌즈,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 점수를 수치화하여 보여주는 벤치마크입니다. 사진, 줌, 보케(Bokeh), 비디오, 프리뷰를 측정하여 점수로 환산해주고 있습니다. 메인카메라 기준으로 측정된 자료이며 사진 품질에 대한 선호도는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www.dxomark.com/

 

 

서클 투 서치

 

 

서클 투 서치 (Circle to Search) 기능은 구글과 협업하여 만든 기술로 SNS나 동영상을 시청할 때 디스플레이에 원을 그려 검색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AI실시간 통역

 

 

갤럭시S24에 AI탑재되면서 사용해질 수 있어진 기능으로 메세지와 통화 내용을 바로 통역해주는 기능이다. 

 

 

노트 어시스트

 

녹음된 자료를 음성을 구분하여 텍스트로 정리해주고 텍스트는 명확하고 보기 쉽게 요약해주는 기능입니다.

 

 

포토 어시스트

 

AI를 통해 사진 속 피사체를 마음대로 이동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삭제 혹은 이동하면서 생기는 빈 공간은 AI가 주변 환경과 어울리게 보정해주는 기능입니다.

 

 
밝기(nits)

 

니트(nits)는 디스플레이의 면적 당 광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로 cd/m표현하기도합니다. 1니트는 1m 면적에 비추는 촛불 1개의 밝기를 의미합니다.

밝기가 밝을수록 태양빛이 강한 야외에서 더 또렷하게 화면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높은 밝기의 디스플레이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시 눈이 더 쉽게 피로해지며 디스플레이 번인(Burn-in) 현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어 자동화면 밝기 조절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유심타입

USIM은 가입자 정보 식별을 위한 IC 카드로, 단말기 뒤나 내부에 끼워 넣는 작은 카드를 말합니다.USIM칩은 가입자, 네트워크, 인증 정보 등의 중요 정보와 메시지, 주소록 등의 부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크기에 따라 일반 유심, 마이크로 유심, 나노 유심으로 구분되며 이 중 나노 유심이 가장 작습니다. 2014년 이후 출시된 스마트폰은 대부분 나노 유심을 사용합니다.특히 최근에는 플라스틱 SIM 카드 대신 기기 내장형 eSIM을 탑재한 모바일기기도 출시되고 있습니다. 

eSIM은 내장형 SIM 카드로 대리점 방문없이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프로파일 다운로드를 받아 사용 가능하며 비대면·온라인으로 개통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eSIM을 사용할 경우 유심을 교체할 필요 없이 통신사를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통신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비싼 요금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UWB(Ultra-Wideband)

 

 

Ultra-Wideband의 약자로 초광대역 통신 기술을 말합니다.UWB 송수신기와 전용프로그램을 설치 후 USB 단자를 지원하는 TV, PC,노트북에 연결하여 영상, 음성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현재 UWB통신 모듈을 장착한 제품은 많이 없으나 통신 신호가 닿는 거리가 멀고, 전송 속도가 빨라 차세대 홈 네트워크 기술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손떨림보정 [휴대폰]

손떨림이 심하거나 줌기능을 사용하여 멀리 있는 사물을 촬영할 때, 또는 이동시 하면서 촬영할 경우에는 영상이나 사진이 흔들리게 됩니다.손떨림 방지 기능이 있으면 동영상이나 사진 촬영 시, 영상을 흔들리게 찍히지 않고 부드럽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On/Off가 가능합니다.

* 광학식(OIS)

물리적인 렌즈 완충으로 보정이 되어 화질손상이 없어 가격이 고가입니다.

* 전자식(EIS)

촬영된 이미지를 회로에서 보정하여 화질손상이 있으며 가격이 저렴한 편입니다.

 

광학줌 [디카]

광학줌은 렌즈를 통해 멀리있는 대상을 확대하는 기능으로 화질저하가 없습니다. 반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대하는 디지털 줌은 영상을 강제로 확대하기 때문에 화질저하가 생깁니다.

 

촬영 시 디지털 줌을 사용해도 해상도가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줌 플러스 기능이 탑재되어 디지털 줌을 사용하여 멀리 있는 대상을 촬영해도 화질 열화가 거의 없이 촬영할 수 있는 제품도 있습니다.

 

레이저 AF

 

레이저 AF(Auto Focus)는 레이저를 쏘아 피사체에 닿는 시간을 계산하여 초점거리를 설정하는 기술로 피사체에 초점을 빠르게 잡아준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빛을 쏘아 측정하는 것이 ToF센서와 비슷하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 ToF: 빛을 확산하여 넓은 시야각 확보 가능하지만 파워가 약함

- 레이저AF: 빛을 한 곳에 집중하여 시야각이 좁지만 파워가 강함

어두운 환경에서는 레이저AF가 약간 더 좋지만 효용성 측면에서는 ToF가 시야각이 넓어 더 좋습니다.

 

HDR촬영지원 [휴대폰]

 

HDR촬영은 서로 다른 노출값을 가지고있는 여러장의 사진을, 각각사진들이 가지고있는 정보를 합쳐, 한장의 사진으로 만드는 것입니다.노출값은 적정노출, -1 노출, +1 노출이 일반적이며 -의 경우 밝은 곳은 좀 더 표현이 가능하지만 어두운 곳은 날아가버리고, +의 경우 어두운 곳을 좀더 표현이 가능하지만 밝은 부분이 날아가 버립니다.

정리해보면 HDR촬영 기법은 사진의 표현의 덜 된부분을 살리기 위해 3장의 각각 다른 노출값의 사진 촬영 후 조합해서 사진의 표현 범위를 넓히기 위한 이미징 기술이라 볼 수 있습니다.

 

파노라마

파노라마 촬영이란 셔터를 누른 상태로 카메라를 돌리면 최대 360도의 장면을 한장의 사진으로 담을 수 있습니다. 이는 카메라가 담을 수 있는 사진의 크기에 한계가 있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즉, 높은 건물이라든지, 좌우로 넓게 펼쳐진 경치 등을 찍을 때 유용하게 쓰이는 기능입니다.

 

 

무선충전

무선충전은 기기가 무선충전을 지원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무선충전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의성이 좋으나 무선충전기 코일 위치에 맞지 않게 올려놓는다면 충전이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무선충전의 대표적인 방식은 아래와 같이 구분됩니다.

 

*무선충전 방식 (얼라이언스)

 

1. 자기유도 방식 (WPC, PMA)

- 공진유도 방식 대비 고효율 충전이 가능

- 평평한 매트방식 패드에서 충전이 가능

- 최대 약 15W급 급속충전 가능

- LG전자, 삼성전자, 애플, 토요타 외 참여

 

2. 공진유도 방식 (A4WP)

- 자기유도 방식 대비 원거리에서 무선충전이 가능

- 삼성전자, 퀄컴, SK텔레콤 외 참여

 

3. 자기공명 방식 (AFA)

- PMA와 A4WP의 연합 규격

- 충전패드 등 공간과 위치에 상관없는 충전 방식

- 최대 약 33W 급속충전 모듈 개발

 

공진유도 방식의 무선충전은 충전기와 스마트폰의 위치 등에 따라 충전효율의 차이가 극심한 편으로 아직 대중적이지 못하며, 최근 사용되고 있는 무선충전의 방식은 WPC(Qi) 및 PMA 방식의 자기유도를 사용한 무선충전이 대부분입니다.

 

 

 

 

 

사진,자료 : 삼성전자,다나와,쿠팡